개요
나이스의 DI 값과 KCB Oknames 의 DI 값이 다르네....
...
CI 값을 확인해봐야 할 듯...
DI 와 CI 의 뜻 정리
CI (Connecting Information)
- 연계정보 (여러i-pin서비스)
- IPIN2.0 에서 나온 개념으로, i-pin사이트 간에 코드 연계가 가능하다.
- (문자열 길이는 88정도?)
DI (Duplication Information)
- 중복정보 (단일i-pin서비스)
- 이용자를 유일하게 식별하는 중복가입확인정보. 중복체크용도로 활용되는 기존의 값이다.
- (문자열 길이는 업체에 따라 다른 듯)
기본적으로는 DI 값으로 중복체크를 하는데, 현재에 와서는 CI 값을 활용하는 듯 하다.
한쪽에서의 CI 값을 중점적으로 사용하면서, 다른 쪽에는 요청을 해서 작업을 진행하면 된다.
그런데 생각을 해보면...결국 이메일 중심으로 가는게 낫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음...;
[인증관련 회사 들]
한국신용정보 | 나이스 아이핀 | https://www.niceid.co.kr/
코리아크레딧뷰로 | KCB 아이핀 | www.ok-name.co.kr
서울신용평가정보 | siren24 아이핀 | www.siren24.com
한국신용평가정보 | www.vno.co.kr (현재 접속 안 됨)
한국정보인증 | SG아이핀 | www.sgipin.com (현재 접속 안 됨)
분류
i-pin 인증
* 주민등록번호 + 이름 확인 후 키 값을 사용
휴대폰 본인확인
* 휴대폰을 통해서, 사용자가 본인이 맞는지 확인. 그와 동시에 생년월일이나 성별등 기타 정보도 확인. 본인확인 용도.
주민등록번호 실명확인
* 주민등록번호와 이름을 통해서 실명이 맞는지 확인한다. 반대로 보면, 주민등록번호가 유효한지 확인하는 용도 이기도 하다.
'개발 > 보안 Auth,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자를 위한 G-PIN 유지보수 가이드 (0) | 2010.07.16 |
---|---|
epki / gpki (0) | 2010.05.31 |
SSL 관련 사이트 (0) | 2010.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