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비밀번호를 만들때 팁

by 언제나초심. 2016. 9. 10.
반응형

여러 웹사이트들을 이용하게 되다보면, 

비밀번호 를 관리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가장 곤란한 점 중 하나는, 비밀번호를 하나로 통일 시키게 되면. 


하나의 사이트에서 비밀번호 유출이 된 경우에 다른 사이트들의 비밀번호도 전부 변경해줘야 하는 점이다. 


이 점에 대해서는, 예전에 어딘가에 글을 올렸던 적이 있었는데. 덕분에 여기저기서 좀 알려진 내용이기도 하다. 


결론을 먼저 얘기하자면, 사이트 명이 naver, daum 인 경우에


na + 원래쓰던 비밀번호 

da + 원래쓰던 비밀번호


이런식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앞의 글자는 n, na, er 식으로 정하면 된다. 사이트의 대표주소 에서 따오는 것이다. 

www.naver.com 이라는 주소에서는 naver.com 이 주로 사용되는 주소 이기 때문에,

여기서 두글자나 한글자 혹은 전체를 따오는 방식이다. 

개인적으로 볼 때에는 앞에서 2글자, 3글자를 따오는 것이 적절하다. 


만약 이름이 홍길동 이라서 암호가 ghdrlfehd 이라고 했을 시에


네이버 암호는 naGhdrlfehd

다음 암호는 daGhdrlfehd


이런식으로 사이트마다 다른 암호설정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는 생각보다 잘 안 잊어버리면서 다른 암호 설정이 가능해진다. 단점은 사이트주소가 변경될 시인데...이 경우에는 뭐 알아서 적절히 변경해주면 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숫자 같은 것을 조합해주면 좋은데, 숫자는 의미없는 숫자를 끼워넣는 것이 좋다. 


naGhd1945rlfehd (na + 홍(첫번째는 대문자로) + 1945 + 길동) 


이런식으로 설정해주어도 좋은 암호가 설정이 되었다. 


좀 더 고민을 해보면 더 좋은 암호들이 나온다. 


naGhd!945rlfehd


이런식으로 특수문자를 넣어볼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순식간에 소문자 + 대문자 + 특수문자 + 숫자 의 조합 비밀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조합과 조합을 섞어서 만들다보면 재밌는 암호들을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좀 더 고민을 해보면

naGhd!9rlf45ehd (na + Ghd + !9 + rlf + 45 + ehd)

Ghd!9rlf45ehdna (Ghd + !9 + rlf + 45 + ehd + na)


이런식으로도 가능하다. 






* 추신

개인적인 희망이 있다면, 각 웹사이트의 비밀번호 자릿수가 많이 늘어났으면 좋겠다. 비밀번호를 50자 정도로 해도 얼마나 좋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 굉장히 많은 조합을 해볼 수도 있을 텐데 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