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 전부 보기482

(Java) Exception in thread "main" java.lang.NoSuchMethodError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지만...내 원인은.JDK 버젼이 말썽이었다. Windows 7 에 64비트 버전 이었는데.32비트로 설치를 했더니 에러가 났던 것이다. 확인하는 방법은 톰캣exe 로 설치시에 JDK 위치가 자동으로 셋팅이 안된다면, 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 아...인생이란...OTL 2010. 5. 12.
(Oracle) imp / exp 옵션 보는 방법 서버 상태에서 (혹은 CMD 상태에서) imp help=y exp help=y 끗 2010. 5. 11.
(Oracle) 오라클 설치중 - 제품별 필요 조건 검사 오라클 설치중 (10g) 에서 제품별 필요 조건 검사에서 경고가 뜨거나 넘어가지 않을 경우 자세히 보면 네모칸이 체크할 수 있게 되어있을 것이다. 그것들을 그냥 체크해주면서 넘어가면 된다. 끗.... 2010. 5. 10.
(Oracle 10g + Windows 7) 설치하기. Oracle 10g 를 윈도우 7 에 설치하는 법은 간단하다. Oracle.com 으로 들어가서, 가입후 Oracle10g 를 다운받는다. (10203_vista_w2k8_x86_production_db.zip) 경험상 Windows Vista 용으로 받는게 수월하다. 혹은 다른 루트를 통해서 받아도 되겠다. 받고 나서 압축을 풀고 나서 Setup.exe 파일에서 마우스 오른쪽을 누르고, 1. 속성 클릭 - 호환성 클릭 2. 호환모드 (Windows Vista) 클릭 3. 권한 수준 (관리자권한으로 실행) 클릭 하고 실행하면 된다. 끗. 2010. 5. 10.
(Solaris, 솔라리스) 솔라리스 환경변수 - 접속시 cat /etc/profile 파일을 열면 환경변수 정보 및 기타 정보를 볼 수 있다. 이 정보는 텔넷으로 접속시 로그인 후에 해당 정보가 반영되는 것으로 보인다. (비 전문가 이므로 불확실함;) 해당 파일을 열어서 수정을 한다. vi /etc/profile PATH=usr/local/bin 등 넣고자 하는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을 하면 된다. 로그아웃 하고 다시 로그인 하면 해당 정보가 반영된다. 괜히 리부트 시켰다가 욕 먹었다. ㅜㅡㅜ 2010. 5. 10.
(Solaris) 솔라리스 메모 su - root 루트로 접속cd 폴더 이동cat 파일 열기 (읽기모드)vi 파일 열기 (수정 모드) - : 또는 Esc 빠져나오기 - q! 강제종료 - wq! 저장종료 df -k 디스크용량확인 cat /etc/hosts 호스트정보확인cat /etc/netmasks 마스트정보확인cat /etc/resolv.conf 네임서버정보확인 env 환경변수 조회 tar xvzf ~~~.tar.gz 압축푹기tar xvf ~~~.tar 압축풀기 ps -ef | grep java자바 관련 프로세스 정보 확인 java -version 자바 버젼 정보 확인 which java 자바 위치 확인whereis java 자바 위치 확인 isainfo -kv 선 버전 확인 tail - f 로그처럼 계속 변동되는 파일 볼 때 2010. 5. 10.
(Windows 7) 윈도우 7 Administrator 계정 활성화 일반 유저로 윈도우로 들어온 후에, 1 커맨드창 열기 : 윈도우키 - cmd 2. 다음을 입력한다. net user Administrator /active:yes 다른 방법 1. 내 컴퓨터 - [관리] 클릭 2. 로컬 사용자 및 그룹 - [사용자] - [Administrator] 3. 계정 사용 안 함 언체킹 2010. 5. 10.
[데이터베이스 Database] DDL / DML / DCL - 쿼리의 종류 (추가 2019-03-18) 개요쿼리의 종류는 DDL / DML / DCL 로 나뉩니다. 잘 보시면 아시겠지만 가운데의 단어만 다릅니다. 그러나 앞뒤 생각 말고 가운데를 보셔서,DDL 의 가운데 D는 Definition (정의)DML 의 가운데 D는 Manipulation (조작)DCL 의 가운데 D는 Control (제어) 라고 생각을 하시면 됩니다. DDLDDL 은 테이블이나 유저 같은 것들을 생성하거나 지우거나 하는 구문을 얘기합니다. 객체를 만들거나 수정하거나 없애거나 하는 것인데, 개발 단계에서 사용이 되고, 운영단계 에서는 덜 쓰이게 되는 구문 이라는 얘기입니다. CREATE 와 DROP/ ALTER 와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수정 하는 개념이 아니며, 작업하기 위한 환경을 생성하거나 변경하는 언어라고.. 2010. 4. 1.
(Oracle) ORACLE 에 대해서. 개요Oracle 을 처음 접하신 분들을 위한 글입니다. 본문ORACLE 은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만드는 회사의 명칭입니다. 제품명도 마찬가지로 ORACLE 이라고 하지요.간혹 광고로 보실수도 있는데, 빨간색으로 ORACLE 이라고 적혀있는 게 이 회사의 로고 입니다. 큰 규모의 사이트 등에서는 오라클 서버를 많이 사용을 하곤 합니다.과거에 만들어진 시스템의 경우에는 오라클을 쓰는 곳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점차 오라클 가격도 만만치 않게 되어가고 있고, 타 데이터베이스 서버 들의 성능이 향상되는 과정이라서. 오라클이 아닌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사용하는 케이스들이 늘어가고 있습니다. 가격의 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입니다. 물론, 성능의 차이도 제법 납니다. 오라클과 쌍벽을 이룬다고 하기에는 MS-SQL SE.. 2010. 4. 1.
(Database) 쿼리 - QUERY - 질의문 - SQL 에 대해서. QUERY 쿼리 라는 것은 바로 번역을 하면 '질의' 라고 해석이 됩니다. 처음 개발을 하게 되면, 프로그래밍 언어는 알면서도 디비 에 대한 부분을 잘 모르거나, 쿼리에 대해 잘 몰라서 당황하시는 분들을 종종 뵙게 됩니다만.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DB서버가 구동이 되고 있는 환경에서. (Oracle, Cubrid, MsServer, MySql, Tibero, Altibase 등의 종류가 있습니다) DB에 명령문을 때리면서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 때의 명령문을 쿼리 라고 생각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DB라는 용어는 DataBase 라는 단어의 약자이며, 데이터베이스. 즉, 데이터를 정리하여 보관하고 있는 저장소 처럼 생각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DB Server 라는 얘기는, 데이터를.. 2010. 4. 1.